맨위로가기

국제 첩보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첩보국》은 1965년에 개봉한 영국의 스파이 영화로, 해리 파머가 원자력 과학자 납치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린다. 육군 상사 출신 해리 파머는 세뇌와 배신, 음모에 휘말리면서, 냉전 시대의 불안과 권력에 대한 경계를 보여준다. 마이클 케인이 주인공 해리 파머 역을 맡았으며, 1960년대 스파이 영화와 차별화된 현실적인 묘사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스릴러 영화 - 남산의 부장들
    남산의 부장들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배경으로 중앙정보부 부장들의 갈등과 권력 암투를 그린 영화이며, 김충식 작가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이병헌, 이성민 등이 출연하여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한 배역을 연기하고, 10.26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호평을 받았다.
  • 정치 스릴러 영화 - 그린 존 (영화)
    《그린 존》은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대량살상무기(WMD)를 찾는 임무를 수행하는 미 육군 준위 로이 밀러와 그의 팀이 CIA 요원, 기자와 협력하여 정치적 음모와 정부의 거짓말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최면을 소재로 한 영화 - 올드보이
    올드보이는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로, 15년간 감금되었다 풀려난 오대수가 자신을 가둔 이우진에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 최면을 소재로 한 영화 - 인어공주 (1989년 영화)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1989년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인어공주는 인간 세계를 동경하는 인어공주 에리얼이 인간 왕자와 사랑에 빠지는 모험을 그리며 큰 인기를 끌었고, 속편과 프리퀄도 제작되었다.
  • 영국의 첩보 영화 - 007 두 번 산다
    《007 두 번 산다》는 1967년 개봉한 제임스 본드 영화로, 일본을 배경으로 스펙터의 음모를 파헤치기 위해 제임스 본드가 활약하며, 흥행에 성공했으나 일부 비평가들은 스토리의 허술함을 지적하기도 한다.
  • 영국의 첩보 영화 - 테넷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테넷》은 시간을 거꾸로 되돌리는 기술을 사용하는 비밀 조직에 합류한 CIA 요원이 미래의 인류 멸망을 막기 위해 러시아 재벌의 음모를 막는 공상과학 스파이 액션 영화로, 시간 역행 설정과 복잡한 플롯, 배우들의 열연으로 호평과 혹평이 엇갈렸지만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다.
국제 첩보국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국 쿼드 영화 포스터
영국 쿼드 영화 포스터
감독시드니 J. 퓨리
프로듀서해리 솔츠먼
원작렌 데이턴의 아이프크레스 파일
각본빌 캐나웨이
제임스 도런
출연마이클 케인
나이젤 그린
가이 돌먼
수 로이드
음악존 배리
촬영오토 헬러
편집피터 R. 헌트
제작사Lowndes Productions
Steven S.A.
배급사랭크 필름 디스트리뷰터스
개봉일1965년 3월 18일 (영국)
국가영국
언어영어
상영 시간109분
제작비750,000 달러 또는 309,261 파운드
후속작파머의 위기 탈출

2. 줄거리

해리 팔머는 국방부 산하 기관에서 일하는 영국 육군 상사였으나, 불복종과 범죄 경력이 있었다. 상관인 로스 대령은 팔머를 달비 소령의 부서로 전출시켜 래드클리프 박사 납치 사건을 해결하도록 지시한다. 래드클리프라는 과학자는 기차에서 납치되고 그의 경호원이 살해당했다.

달비는 요원들에게 주요 용의자는 에릭 그랜트비와 그의 참모인 "하우스마틴"이며, 현재 그들의 행방을 찾아내라고 명령한다. 팔머는 스코틀랜드 야드의 연락책을 이용하여 그랜트비를 찾아내지만, 팔머가 그랜트비의 도주를 막으려 하자 하우스마틴의 공격을 받는다. 하우스마틴은 나중에 체포되지만, 심문을 받기 전에 팔머와 조크 카스웰로 위장한 사람들에게 살해당한다.

팔머는 래드클리프가 특정 폐공장에 갇혀 있다고 의심하고 수색을 명령하지만, 재생 시 아무 의미 없는 소리가 나는 "IPCRESS"라는 라벨이 붙은 오디오테이프 조각 외에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는다. 이후, 달비와 팔머는 그랜트비를 만나 래드클리프의 반환에 대한 거래를 한다.

교환은 계획대로 진행되지만, 팔머는 그림자 속의 남자를 쏘는데, 그는 CIA 요원으로 밝혀진다. 며칠 후, 래드클리프는 신체적으로는 해를 입지 않았지만, 정신적인 영향을 받아 더 이상 과학자로서 기능할 수 없게 되었다.

2. 1. 래드클리프 박사 납치 사건

해리 팔머는 국방부 산하 기관에서 일하는 영국 육군 상사였으나, 불복종과 범죄 경력이 있었다. 상관인 로스 대령은 팔머를 달비 소령의 부서로 전출시켜 래드클리프 박사 납치 사건을 해결하도록 지시한다. 래드클리프 박사는 기차에서 납치되었고, 그의 경호원은 살해당했다. 로스 대령은 래드클리프 박사의 실종이 다른 16명의 영국 최고 과학자들이 경력 정점에서 설명할 수 없이 직장을 떠난 사실과 관련이 있다고 의심한다.[24] 팔머는 사망한 경호원의 대체 인력으로 소개된다.

2. 2. IPCRESS의 비밀

팔머는 수사 과정에서 'IPCRESS'라는 의문의 단어가 적힌 오디오테이프 조각을 발견한다. 재생 시 아무 의미 없는 소리가 났지만, 카스웰이 발견한 "스트레스 하에서 조건반사에 의한 정신신경증 유도" – IPCRESS – 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통해 그 의미가 밝혀진다.[24] 즉, 'IPCRESS'는 과학자들을 세뇌하는 데 사용된 기술이었다. 래드클리프 박사를 비롯한 여러 과학자들이 이 기술로 인해 정신적으로 파괴되어 더 이상 과학자로서 기능할 수 없게 되었다.[24]

2. 3. 세뇌와 배신

해리 팔머는 납치되어 세뇌를 당한다. 그는 동료와 상사 간의 배신에 직면하게 된다. 로스 대령은 팔머에게 마이크로필름을 만들라고 요청한 파일을 찾고 있었고, 팔머는 함정에 빠졌다고 생각한다. 그는 달비 소령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로스 대령을 의심하지만, 달비는 잠시 도시를 떠나라고 조언한다. 그러나 팔머는 파리로 가는 기차에서 납치되어 알바니아로 보이는 감옥에서 깨어난다.[24]

에릭 그랜트비는 팔머에게 자신이 납치범임을 밝히고, 팔머는 그들이 자신을 세뇌할 준비를 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팔머는 고통을 이용하여 정신을 분산시키려 하지만, 혼란스러운 이미지와 큰 전자 음향으로 인한 스트레스 속에서 여러 번의 과정을 거친 후 굴복한다. 그랜트비는 팔머에게 주어진 명령을 따르도록 하는 방아쇠 문구를 주입한다.[24]

팔머는 결국 탈출하여 자신이 실제로는 런던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는 달비에게 전화하여 로스를 창고로 부르게 한다. 달비와 로스가 도착하자 팔머는 그들 둘을 총으로 겨눈다. 달비는 로스가 조크 카스웰을 죽였다고 비난하고, 로스는 팔머에게 달비를 의심하고 그를 조사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달비는 방아쇠 문구를 사용하여 팔머에게 "지금 배신자를 쏴라"고 명령한다. 팔머가 망설이는 사이, 그의 손이 장비를 쳐 고통이 그의 컨디셔닝을 상기시킨다. 달비가 총을 잡으려 하자 팔머는 그를 쏜다.[24]

3. 등장인물

기타콘도 타카코, 도모치카 케이코, 카와지 나츠코, 무라마츠 야스오, 호소이 시게유키, 이시이 토시로, 카토 오사무, 나야 로쿠로



일본어 더빙은 DVD에 재방송 단축판이 수록되었다.

3. 1. 주요 등장인물

3. 2. 기타 등장인물

4. 제작 과정

렌 데이턴은 제임스 본드 영화 ''위험한 독신녀''의 각본을 쓰기 위해 고용되었지만, 진척이 없다는 이유로 해고되었다. 그러나 데이턴이 이온 프로덕션에 잠시 관여한 것은 그가 해리 파머 소설의 영화 판권을 본드 시리즈의 공동 프로듀서인 해리 설츠먼에게 판매하도록 이끌었다. 설츠먼은 이전에 "키친 싱크 리얼리스트" 드라마를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5][6]

''두뇌 게임''과 당시 본드 영화에서 일했던 제작진으로는 프로덕션 디자이너 켄 아담, 영화 편집자 피터 헌트, 영화 음악 작곡가 존 배리 등이 있었다.[13]

최종 각본에는 지미 생스터, 빌 캐너웨이, 제임스 도란, 라이오넬 데이비슨, 조한나 하우드, 루카스 헬러, 켄 휴즈, 그리고 데이턴 자신이 참여했으나,[10] 캐너웨이와 도란만 크레딧에 올랐다.

해리 샐츠먼은 《이프크레스 파일》을 이안 플레밍의 스파이 제임스 본드 소설 및 영화 007 시리즈와 대조적으로, 아이러니하고 침울한 분위기로 만들고 싶어했다.[12][13] 그는 사실주의 영화 스타일을 따르고자 했다.[5] 《이프크레스 파일》은 해리 파머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필름 느와르를 연상시킨다. 파머는 노동자 계급 출신 런던 사람으로, 노팅힐 하숙집에 살며 관료주의와 부서 간 경쟁을 겪는다. 영화 배경은 로열 앨버트 홀을 제외하면 "칙칙하고 음울하며, 스윙잉 런던과는 거리가 먼" 런던의 평범한 장소이다.[14][11]



렌 데이턴이 1961년에 발표한 소설 《이프크레스 파일》은 이안 플레밍의 제임스 본드가 인기를 끌던 시기에, 그 안티테제로 집필되었다. "노동자 계급의 건성인 샐러리맨 스파이"가 냉전 하 동서 대립 배경 속에서, 얽히고 설킨 음모에 휘말리는 스파이 서스펜스이며, 세뇌를 도입한 점이 독특하다.

제임스 본드를 비꼰 듯한 원작이었지만, 해리 살츠먼은 존 배리를 기용하여 영화화했다.

진지한 각본, 시드니 퓨리의 연출,[24] 오토 헬러의 촬영, 마이클 케인의 연기가 어우러져 개성적인 스파이 액션 영화가 되었으며, 1965년 영국 아카데미상 작품·촬영 등 3개 부문을 수상했다. 1999년 영국 영화 협회 선정 20세기 영국 영화 톱 100에서 59위에 올랐다.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담당
제작해리 샐츠먼
감독시드니 J. 퓨리
제작 총지휘찰스 D. 카셔
각본빌 캐너웨이, 제임스 도렌
촬영오토 헬러
프로덕션 디자인켄 애덤
미술피터 머튼
편집피터 헌트
캐스팅웨스턴 돌리 주니어
음악존 배리


4. 1. 개발

렌 데이턴은 제임스 본드 영화와는 다른, 현실적인 스파이 영화를 만들고자 했던 해리 설츠먼에 의해 발탁되었다. 설츠먼은 이전에 "키친 싱크 리얼리스트" 드라마를 제작한 경험이 있었다.[5][6] 데이턴은 이언 플레밍의 제임스 본드 소설의 안티테제로, "노동자 계급의 건성인 샐러리맨 스파이"가 주인공인 소설 《이프크레스 파일》을 1961년에 발표했다.

설츠먼은 지미 생스터에게 소설 각색을 의뢰했으나, 생스터가 기한을 지키지 못해 무산되었다.[7] 최종 각본에는 생스터, 빌 캐너웨이, 제임스 도란 등이 참여했으나, 캐너웨이와 도란만 크레딧에 올랐다.

영화는 원작의 모호함을 없애고, 주인공 해리 파머를 권위에 얽매이지 않고 재치 있는 대화를 즐기며, 맛있는 음식에 관심이 많은 인물로 묘사했다. 파머의 주방에 보이는 신문 스크랩은 실제로 데이턴이 쓴 요리 기사였다.[8][9] 파머가 요리하는 장면에서 클로즈업되는 손은 실제 데이턴의 손이다.[15]

원작에서 익명이던 주인공은 영화에서 "해리 파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는 마이클 케인과 해리 설츠먼이 "가능한 한 '얼빠진' 이름을 붙이자"라는 기준으로 생각해 낸 것이다.

파머는 검은 뿔테 안경을 착용하고, 솔직한 하층 계급 억양을 사용하며,[25] 요리를 직접 하고 슈퍼마켓에서 장을 보는 등, 당시 남성으로서는 드문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는 엘리트 스파이 제임스 본드와는 정반대의 안티 히어로적인 모습이다.

오프닝 타이틀은 존 배리의 긴장감 넘치는 테마곡을 배경으로, 파머가 낡은 아파트에서 기상하여 몸단장을 하고, 커피를 직접 내려 마시며, 더 선의 구인란을 체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일에 시큰둥한 적당한 샐러리맨"의 모습을 통해, 제임스 본드와는 다른 현실적인 주인공상을 제시한다.

4. 2. 촬영

이 영화는 피너우드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으며, 미술 감독 피터 머튼과 켄 애덤이 세트를 디자인했다. 테크니스코프를 사용하여 와이드 스크린 화면 비율로 런던 일대에서 로케이션 촬영되었다.[15] 이 형식은 일반 35mm 필름 프레임을 반으로 나누어 각 프레임이 필름 가장자리에 있는 4개의 구멍이 아닌 2개의 구멍만 차지하도록 한다. 1963년 테크니컬러 이탈리아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아나모픽 와이드스크린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짧은 초점 거리의 렌즈로 촬영하여 더 큰 심도를 허용했다. 이를 통해 촬영 감독 오토 헬러는 딥 포커스로 이미지를 구성하여, 물체 뒤에서 촬영하고 전경의 물체와 배경에서 일어나는 액션 모두에 초점을 맞출 수 있었다.[15]

4. 3. 음악

존 배리는 이전까지 모든 본드 영화에서 작업했으며, 사운드트랙의 음악을 작곡했다. 제임스 본드 테마에서 멜로디를 전달하는 일렉트릭 기타와는 대조적으로, 배리는 침발롬을 두드러지게 사용했다.[16]

뇌 세척 과정의 복잡한 전자 음향 효과는 BBC 방사성 워크숍에서 제작되었다.[17]

5. 평가 및 영향

이 영화는 고전으로 인정받아 영국 영화 협회의 BFI 100에서 20세기 최고의 영국 영화 100편 중 59위에 올랐다.[19] 또한, 리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31명의 평론가를 기준으로 97%의 "신선함" 평점을 받았다.[20]

마이클 케인 주연의 해리 팔머 시리즈 속편으로 ''베를린의 장례식''(1966)과 ''10억 달러 두뇌''(1967)가 제작되었고,[24] 1990년대에는 해리 앨런 타워스가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 ''베이징으로의 총알''(1995)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미드나잇''(1996)이 제작되었다.

파머 3부작은 제임스 본드 아류 스파이 영화들과는 격이 다른 컬트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영국에서 인기가 높다. 이후 제작된 코미디 스파이 영화 오스틴 파워의 주인공은 해리 팔머의 패러디 캐릭터이며, "주인공이 안경 착용의 1960년대에서 온 스파이"라는 설정에 잘 나타나 있다. 3편에서는 마이클 케인이 주인공의 아버지 역으로 똑같은 모습으로 등장했다.

5. 1. 평가

1965년 3월 18일 런던의 레스터 스퀘어 극장에서 영화가 초연되었을 때, ''The Times''의 영화 평론가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영화의 전반부는 즐겁게 감상했지만, 후반부는 등장인물들이 "기분 좋게 수수께끼스럽기보다는 짜증스러울 정도로 모호해질" 정도로 당혹스러웠다고 평했다.[2] ''Variety''의 리뷰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첩보를 매력적이지 않게 묘사한 점을 들어 영화를 "반-본드"라고 묘사했고, 마이클 케인의 절제된 연기를 칭찬했지만, 때때로 "예술적인" 촬영 기법을 비판했다.[18]

이후 이 영화는 고전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프크레스 파일''(The Ipcress File)은 영국 영화 협회의 BFI 100에 포함되어 있으며, 20세기의 가장 훌륭한 영국 영화 100편 중 59위에 해당한다.[19] 리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는 31명의 평론가를 표본으로 하여 97%의 "신선함" 평점을 기록했다.[20]

원작은 렌 데이턴이 1961년에 발표한 소설 《이프크레스 파일》이다. 이안 플레밍의 원작에 따른 화려한 플레이보이 스파이인 제임스 본드가 소설로 인기를 끌고 영화화도 진행되던 시기에, 그 안티테제로 집필되었다. "노동자 계급의 건성인 샐러리맨 스파이"가 냉전 하의 동서 대립을 배경으로, 적이 보이지 않는 얽히고 설킨 음모에 휘말려 들어가는 스파이 서스펜스이며, 세뇌를 스토리에 도입한 점에서도 독특한 작품이다.

제임스 본드를 비꼰 듯한 난해하고 모호함으로 가득한 원작이었지만, 본드 영화의 프로듀서 중 한 명인 해리 살츠먼의 마음에 들어, 음악까지 초기 본드 영화 담당이기도 했던 존 배리를 기용하여 영화화되었다.

원작을 교묘하게 다이제스트한 진지한 각본과 시드니 퓨리의 단단한 연출[24], 오토 헬러의 촬영에 의한 강한 콘트라스트와 색채를 살린 영상 (붉은색이 교묘하게 모티프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주인공 Harry Palmer|해리 파머영어 역의 마이클 케인의 반쯤은 표표하면서도 하드보일드한 연기가 상승 작용하여 개성적인 스파이 액션 영화가 되었으며, 1965년 영국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촬영 등 총 3개 부문을 수상하는 등, 높이 평가받았다. 1999년 영국 영화 협회(BFI)에 의한 20세기의 영국 영화 톱 100에서는 59위에 랭크되었다.

영화제/시상식부문후보결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시드니 J. 퓨리수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주연상마이클 케인노미네이트
각본상빌 캐너웨이
제임스 도런
노미네이트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촬영상오토 헤러수상
미술상켄 애덤수상


5. 2. 수상 내역

기관연도부문후보결과
BAFTA상1966년최우수 영국 영화시드니 J. 퓨리수상
최우수 영국 각본빌 카나웨이, 제임스 도란후보
남우주연상마이클 케인후보
최우수 영국 촬영상 (컬러)오토 헬러수상
최우수 영국 미술상 (컬러)켄 아담[21]수상
칸 영화제1965년황금종려상시드니 J. 퓨리후보
미국 감독 조합상1966년뛰어난 감독상 - 장편 영화시드니 J. 퓨리후보
에드거 앨런 포 상1966년최우수 외국 영화 각본빌 카나웨이, 제임스 도란수상


5. 3. 속편 및 영향

마이클 케인 주연의 해리 팔머 시리즈 속편으로 ''베를린의 장례식''(1966)과 ''10억 달러 두뇌''(1967)가 제작되었다.[24] 1990년대에는 해리 앨런 타워스가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 ''베이징으로의 총알''(1995)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미드나잇''(1996)이 제작되었다.

파머 3부작은 서스펜스 영화로서 뛰어난 내용과 마이클 케인의 찰떡 배역이라고 할 수 있는 호연으로 1960년대에 대량으로 만들어진 제임스 본드 아류 스파이 영화들과는 격이 다른 컬트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영국에서 후년까지 인기가 높다.

이후 제작된 코미디 스파이 영화 오스틴 파워의 주인공은 해리 팔머의 패러디 캐릭터이며, "주인공이 안경 착용의 1960년대에서 온 스파이"라는 설정에 단적으로 나타나 있다. 3편에서는 마이클 케인이 주인공의 아버지 역으로 똑같은 모습으로 등장했다.

6. 한국 사회에 미치는 함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oviegraphic: The Ipcress File https://www.bfi.org.[...] 2016-07-26
[2] 뉴스 Film review of The Ipcress File The Times 1965-03-18
[3] 논문 'The Trouble with Harry: The Difficult Relationship of Harry Saltzman and Film Finances' 2014
[4] 서적 'The Money Behind the Screen: A History of British Film Finance, 1945-1985'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2
[5] 서적 Some kind of hero : 007 : the remarkable story of the James Bond films https://www.worldcat[...] 2015
[6]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Ipcress File, The (1965) http://www.screenonl[...] 2021-09-09
[7] 서적 'Do You Want It Good or Tuesday?: From Hammer Films to Hollywood!: A Life in the Movies: An Autobiography' Midnight Marquee Press
[8] 서적 Action Cook Book Harper Perennial
[9] 서적 "Len Deighton's Cookstrip Cook Book" B. Geis Associates
[10] 웹사이트 Moviegraphic: The Ipcress File https://www.bfi.org.[...] 2016-07-26
[11] 뉴스 The Ipcress File: tracking down the locations for the Michael Caine spy classic https://www.bfi.org.[...] 2022-06-20
[12] 뉴스 The name's Saltzman, Harry Saltzman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2012-09-28
[13] 뉴스 Ipcress File, The (1965) http://www.screenonl[...] British Film Institute
[14] 뉴스 The Ipcress File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2006-01-13
[15] 웹사이트 The Ipcress File Blu-ray review http://www.dvdcompar[...] DVDCompare 2014-08-01
[16] 웹사이트 John Leach – obituary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2014-07-11
[17] 웹사이트 Norman Wanstall Interview – Podcast #015 http://jamesbondradi[...] 2014-06-13
[18] 웹사이트 The Ipcress File https://variety.com/[...] Penske Business Media 1964-12-31
[19] 웹사이트 The BFI 100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 웹사이트 The Ipcress File (1965)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1] 웹사이트 Helpful Information http://www.filmdesig[...] British Film Designers Guild
[22] 웹사이트 Release dates for The Ipcress File http://www.imdb.com/[...] IMDb
[23] 웹사이트 国際諜報局 http://www.kinejun.j[...] キネマ旬報社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뉴스 Film review of The Ipcress File The Times 1965-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